반응형 전체 글44 Java에서 파일 MIME 구하기 feat. nio.file Java로 MIME 타입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매직 바이트 검사 방식(파일 헤더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 URLConnection을 사용하는 방식- nio.files의 probeContentType을 사용하는 방식- Apache Tik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식정도가 될 것이다. 기존에는 nio.files의 probeContentType을 사용해서 MIME 타입을 구하고 있었는데 에러가 발생해 수정하게 된 과정을 소개하려고 한다. 😎 기존 코드는 다음과 같은 형태였다.public static String determineMimeType(File file) { try { if (file == null || !file.exists()) { throw.. 2025. 8. 29. 단일 WAS 환경에서 WAS별 비교 feat. Tomcat, Undertow, Netty, Jetty 문득 궁금해서 해보는 WAS별 비교 🧐서블릿 환경에서 흔히들 쓰는 tomcat과 reactive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netty와 undertow, jetty 등 WAS별 비교해 보자. 1. 톰캣(tomcat)기본적으로 tomcat을 사용할 때 스레드 개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http-nio-9194-1@exec ~ http-nio-9194-10@exec까지 10개의 스레드가 대기 상태로 놓이게 된다. 그 이유는 내장 톰캣의 최소 쓰레드 수는 10개에서 최대 쓰레드 수는 200개로 10개의 쓰레드가 초기화된 상태로 존재하며 이를 기반으로 요청이 들어오면 기존 스레드를 사용하고, 기존 쓰레드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쓰레드를 생성하게 된다.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다.- minThreads(minimum poo.. 2025. 8. 26. [Slack] Github에서 PR 생성시 슬랙으로 알람받기 feat. Github App 현재 개발팀에서 깃헙과 슬랙을 쓰고 있다.개인 슬랙에서 Github App을 이용해 Gihhub에서 PR이 생성되거나, Review가 달리거나 Issue가 발생했을 때 메시지를 받고 있어 빠르게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어 좋다.내가 받아보는 알림들을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 받아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슬랙으로 깃헙 알림을 받아볼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아래와 같다.- Github Actions과 Slack 웹훅을 통해 보내는 방법- Github Webhooks 기능을 통해 보내는 방법- 슬랙의 앱을 통한 방법 Github Actions과 Slack 웹훅을 를 통해 보내는 방법은 PR이 발생했을 때 CI 로직에 Slack 웹훅으로 특정 이벤트에 대해 직접 요청을 보내는 방식으로 제약.. 2025. 8. 21. [GCP] Mac 터미널에서 VM 접근하기 GCP VM 인스턴스는 GCP에서 제공하는 console에서도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해 준다.하지만 귀찮으니 터미널에서 gcloud에 접근하는 방법 알아보자~🤔 1. google-cloud-sdk 설치mac package manager인 brew를 이용해 설치하자.brew install --cash google-cloud-sdk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설치가 잘 된 모습2. gcloud initgcloud init을 하게 되면 google 로그인 창으로 이동되고 로그인하면 된다.그 후 자유롭게 Region 설정도 하면 된다.3. gcloud infogcloud 정보 확인 한 번 해주기.4. gcloud helpgcloud help도 한 번 봐주기.5. gcloud 접속gcp console에 접속.. 2024. 3. 19.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