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s2 서킷 브레이커 패턴을 통해 Redis 장애 전파 막기 운영 도중 레디스에 장애가 발생해 레디스에 의존하는 서비스의 특정 API가 마비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현재 레디스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이 되고 있는데 캐싱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레디스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고 그로 인해 레디스를 통해 캐시를 불러오는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해 에러 메시지를 반환하고 있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레디스의 캐싱과 같은 외부의 부수적인 기능을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장애 전파를 막는 방법과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떻게 회복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작성하려고 한다. 👏CacheErrorHandler@Cacheable( value = "testCache", key = "#p0", cacheManager = "cacheManager", .. 2025. 9. 22. [Spring] Spring Actuator의 헬스 체크 사용시 주의할 점 이번 글에선 Spring Actuator 헬스 체크를 사용했을 시 서비스 운영 중 발생한 이슈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Spring ActuatorSpring Actuator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제공해 주는 라이브러리다.Actuator을 사용하면 헬스 체크, 메트릭 수집, 애플리케이션 정보, 로깅 관리, 실행 중인 스레드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헬스 체크란?헬스 체크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외부에서 확인하는 방법이다.서비스의 고가용성 혹은 부하 분산등의 이유로 서버 앞단에 로드 밸런서를 두는 경우, 로드 밸런서는 라우팅 할 서버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서비.. 2025. 9.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