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WS4

Terraform foreach 사용하기 feat. AWS EC2 현재 운영 중인 EC2 인스턴스와 같은 스펙의 EC2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 Terraform으로 같은 스펙의 인스턴스를 만드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을까? 🧐 같은 코드를 한 번 더 작성해서 새로운 테라폼 리소스를 만들어줄 수도 있겠지만 본 글에선 테라폼의 foreach문을 사용해서 기존 리소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같은 스펙의 리소스를 새롭게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1. EC2 리소스 정의기존 EC2의 상태를 다음과 같이 가정하자resource "aws_instance" "test-ec2" { ami = var.ec2_ami instance_type = var.ec2_instance_type s.. 2025. 9. 2.
MongoDB Atlas(Cloud)와 AWS VPC Peering AWS와 MongoDB Atlas(Cloud)를 별도로 사용하다 보면 MongoDB Atlas(Cloud)의 경우 별도의 호스팅 서버로 리소스가 따로 관리되게 된다. 만약 MongoDB Atlas의 호스팅을 AWS에서 한다는 가정하에 AWS의 리소스(가령 EC2) 들이 MongoDB Cloud에서 관리되는 MongoDB에 접속하기 위해선 MongoDB 측에서 AWS 리소스들의 주소를 알아야 한다. 가령 ASG로 관리되는 EC2들의 경우, 특정 상황에 새롭게 EC2들이 생성되고 제거되면서 IP가 변경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 어떤 전략으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지 다뤄보자 🧐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 VPC Peering- AWS PrivateLink- NAT Gatewway를 통한 고정 IP로 o.. 2025. 8. 31.
[AWS] RDS 인증서 만료에 따른 인증서 업데이트 운영하던 서비스에서 RDS를 세팅해 사용하던 도중 AWS Health로부터 메일을 받았다.🫠2024년 8월에 만료될 예정인 amazon rds 인증 기관 인증서 rds-ca-2019를 업데이트해주라는 내용이었다.하면 되지 모~ 1. AWS 콘솔에 접속해 RDS 인스턴스 확인2. 현재 인증서 확인3. 사용 가능한 인증서 종류 확인rds-ca-2019를 rds-ca-rsa2048-g1으로 교체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4. 인증서 바꿔주고 Continue(계속)rds-ca-rsa2048-g1의 인증서는 무려 2061년 만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수정 예약 설정현재 사용하고 있는 mysql 엔진이 비교적 최신의 엔진이기 때문에 엔진 재시작 없이 바로 적용이 되므로 즉시 적용으로 실행했다.끊김 없었음 2024. 3. 19.
[Ubuntu] 서버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 - no space left on device AWS에서 CI / CD 처리 중 no space left on device 에러를 만났다..해당 에러는 서버 디스크 용량이 없을 때 발생하는 에러로 어떤 해결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1. Docker를 사용하는 경우생각보다 사용하지 않는 도커 이미지, 컨테이너, 볼륨등으로 인해 낭비되는 용량이 많다.가장 먼저 확인해 볼 수 있는 부분은 사용하지 않는 docker image들이 확보하고 있는 용량이다. 비단 이미지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컨테이너, 사용하지 않는 볼륨을 확인하고 삭제함으로써 용량을 확보해 보자.사용하지 않는 컨테이너 삭제docker container prune [OPTIONS]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삭제docker image prune [OPTIONS]사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삭제d.. 2023.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