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Slack] Jira에서 이벤트 발생시 슬랙으로 알람받기 feat. Jira App 현재 개발팀에서 지라와 슬랙을 쓰고 있다.개인 슬랙에서 Jira App을 이용해 Jira에서 이슈가 생성되거나, 변경되거나 코멘트가 변경되거나 하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DM을 받고 있어 빠르게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어 좋다.내가 받아보는 알림들을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 받아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1. Jira 앱 설치슬랙에서 Jira 앱을 찾아 설치해 준다.2. 슬랙 채널 만들기Jira 앱을 설치했다면 슬랙 채널을 만들어 주자. 3. 만든 채널에 Jira 앱 초대만든 채널의 메시지 창에서 다음과 같이 Jira 앱을 초대해 줄 수 있다./invite @jira4. Jira 프로젝트 연결정상적으로 초대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지라 프로젝트를 연결할 수 있는 DM을 받게 된다.원하는 프로젝트를 선택.. 2025. 9. 11. HLS를 통한 대용량 미디어 전송 최적화 feat. m3u8 현재 개발하고 있는 AI 번역 플랫폼은 번역가들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한다.최근 서비스 영상의 용량이 커지면서 동영상 플레이어의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본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전송 방식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그 과정과 결과를 소개해본다. 👍 1. 문제 발생점점 제공하는 서비스의 영상이 길어지고 품질이 좋아질수록 개별 영상의 용량이 커지기 시작했다. 1GB 이내의 파일들은 정상적으로 제공되지만 용량이 커지면서 영상에 지연이 생기고 클라이언트의 경험, 작업 흐름이 깨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문제의 영상은 대략 5GB이었는데 크롬에선 영상을 다운받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해 버렸다. (참고로 파이어폭스와 사파리는 영상이 재생되긴 했다. 파이어폭스는 지연이 걸.. 2025. 9. 8. Java 코드를 빌드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 feat. jar, bootJar, shadowJar Java와 Kotlin과 같은 JVM 언어들은 Jar 파일로 빌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본 글에선 jar, bootJar, shadowJar 등에 대해 비교해 보고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소개해본다. 🙂↕️ Java나 Kotlin에서 사용하는 jar, bootJar, shadowJar는 모두 프로젝트를 패키징 하는 방식이지만, 의존성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Jar는 크게 Plain Jar와 Fat Jar로 나뉜다. 1. Plain Jar(Java Archive)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한 .class 파일과 리소스 파일(application.yml, 이미지 등)만 압축해서 담은 파일이다. 위에서 말한 jar가 Plain Jar에 해당되며 이 Jar 파.. 2025. 9. 4. HTTP h2c 옵션에 대하여 feat. RestClient + (FastAPI + Uvicorn) FastApi를 통해 구축한 AI 서버와 HTTP 통신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RestClient를 통해 FastApi로 구축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상황에서 문제가 생겼다.본 글에선 위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과 해결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문제 상황문제 코드는 다음과 같다.ResponseEntity entity = restClient .post() .uri("{FastAPI URL}") .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accept(MediaType.APPLICATION_JSON) .. 2025. 9. 3. 이전 1 2 3 4 5 ··· 7 다음